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JRE
- java map 출력
- sqld자격증합격
- 비전공자sqld
- 인터프린터언어
- java map 저장
- java set 저장
- 프로그래머스
- javaJVM
- java map
- 프로그래머스제일작은수
- 격파르타후기
- 컴파일
- 격파르타비전공자
- java알고리즘
- 노베이스부트캠프
- 항해15기
- java알고리즘문제풀이
- java 자료구조 활용
- 항해99후기
- 격파르타합격후기
- java list 저장
- java list 출력
- 코딩부트캠프후기
- java set 출력
- 작은수제거하기
- java참조자료형
- java최솟값구하기
- 격파르타장점
- java기본자료형
- Today
- Total
목록2세/Spring (33)
코딩과 결혼합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개발자가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코드 간의 강한 결합성을 가지게 되어, 하나의 변화가 전체적인 코드 변경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예를 들어 A클래스가 B클래스를 사용하는데, 이 클래스를 직접 new 연산자를 통해 생성한다면, B클래스가 변경되면 A클래스도 함께 변경해야 한다. 이는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든다. 두 번째는 테스트가 어려워질 수 있다. 테스트를 위해 실제 객체를 생성하거나, 테스트를 위한 별도의 코드를 작성해야 할 수도 있다. 이는 테스트의 복잡성을 증가시키며,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세 번째는 DI를 사용하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객체를 주입받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직접 객체를 생성하면, 해당 객체만을 사용해야 하..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null 특별한 값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키워드. 아무런 값도 가지지 않음을 나타내며, 참조 타입 변수가 어떠한 객체도 참조하지 않을 때 주로 사용된다. null은 기본 타입에는 사용할 수 없고, 오직 참조 타입 변수에만 할당할 수 있다. null을 사용하기 전에 해당 변수가 null인지 아닌지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렇지 않으면 NullPointExcep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참조 변수 타입에 null을 할당하면, 해당 변수는 객체를 참조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나 속성에 접근할 수 없다. null 을 다루는 방법 Optional 클래스 java 8부터 도입된 클래스로, null-safe한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Optional을 사용하면 값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에도 ..

정적 컨텐츠 단순히 파일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방식. 정적 컨텐츠의 경우에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거치지 않고, 바로 해당되는 HTML 파일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MVC와 템플릿 엔진 웹 브라우저에서 특정 페이지를 요청하면 톰캣 서버는 관련 컨트롤러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찾는다. 컨트롤러는 요청에 필요한 데이터를 모델에서 가져오거나, 데이터를 업데이트 등을 담당하고, 타임리프를 이용해 동적인 HTML 문서를 생성하여 뷰로 전달한다. name이라는 데이터를 바로 넣어서 보내는 방법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이채원"); return "hello"; } @RequestParam 형식으..

thymeleaf는 Java 기반의 서버 사이드 템플릿이다. 이를 사용하면 HTML, XML, JavaScript 등 다양한 형식의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web은 톰캣, 웹 mvc 등 웹과 관련된 것들을 알아서 가져와준다. 이 안에서도 필요한 의존들이 있고 나중에는 스프링 코어까지 가져온다고. Tomcat 은 Java Servlet, JavaServer Pages(JSP), WebSocket 등의 기술을 지원하여 동적인 웹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전에는 tomcat 서버를 수동으로 설치하고 구성했어야 했다. 그러나 spring에서는 내장 Tomcat을 사용하여 실행만 해도 웹서버가 뜬다. localhost:8080 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로깅을 하는 라이브러리에는 ..
gradle.kts //... plugins { id("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2" id("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4" kotlin("jvm") version "1.9.22" kotlin("plugin.spring") version "1.9.22" kotlin("plugin.jpa") version "1.9.22" }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Kotlin? 2011년 JetBrains에서 공개한 JVM에서 동작하는 정적 타입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간결하고 실용적이며 자바코드와 상호운용성을 중시한 언어이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Java언어와의 차이점 코틀린의 문법이 더 간결하고 표현력이 뛰어나 가독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코틀린은 자바와의 상호 운용성이 뛰어나 기존에 자바로 작성된 코드를 마이그레이션 하는 것이 비교적 쉽고 원활히 이루어진다. 코틀린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공식 언어로 채택되었다. 코틀린은 비교적 새로운 언어이기 때문에 자바에 비해 학습 곡선이 높을 수 있다. 하지만, 자바와의 유사성으로 자바 개발자들이 쉽게 코틀린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정적 타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