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과 결혼합니다

스프링 입문 :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본문

2세/Spring

스프링 입문 :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코딩러버 2024. 2. 3. 01:43
728x90


thymeleaf는 Java 기반의 서버 사이드 템플릿이다. 이를 사용하면 HTML, XML, JavaScript 등

다양한 형식의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web은 톰캣, 웹 mvc 등 웹과 관련된 것들을 알아서 가져와준다.

 

 

이 안에서도 필요한 의존들이 있고 나중에는 스프링 코어까지 가져온다고.

 

라이브러리 간의 의존관계

 

Tomcat

Java Servlet, JavaServer Pages(JSP), WebSocket 등의 기술을 지원하여

동적인 웹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전에는 tomcat 서버를 수동으로 설치하고 구성했어야 했다.

그러나 spring에서는 내장 Tomcat을 사용하여 실행만 해도 웹서버가 뜬다.

 localhost:8080 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로깅을 하는  라이브러리에는

slf4j와 logback등이 있다. 실무에서는 이 로그가 중요하게 쓰인다.


빌드, 실행하는 방법 (cmd)

 

그동안 IntelliJ 안에서 빌드하고 실행을 해보았는데 이번에는 cmd를 통해서 해볼것이다.

 

cd..                     이전 폴더로 이동
cd <폴더이름>    <폴더이름>으로 이동
dir                       디렉터리 조회(리스트)

 

 

gradlew bulid        빌드

 

빌드가 완료됨 / 그럼 빌드 파일이 생성된다.
libs 파일을 보면 jar파일을 볼 수 있다.

java -jar <jar 파일>    java로 jar파일 실행시키기

 

spring이 뜬다.
웹페이지도 ok

 

명령프롬프트를 끄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 인텔리제이에서 8080 포트로 실행된 서버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다시 실행할 수 없다. 때문에 둘 중 하나로만 실행해야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