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과 결혼합니다

230626 - 웹 서버의 동작 원리 본문

2세/기타

230626 - 웹 서버의 동작 원리

코딩러버 2023. 6. 26. 23:54
728x90

오늘 배운 것 / 느낀 것

 

스플링 입문 1주차 강의를 다 듣고 나서 조원분의 도움으로 그간 배웠던 개념들이 어떠한 이유로 어떤 과정을 밟아가며 흘러가는지를 정리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네트워크 : 여러대의 컴퓨터 또는 장비가 서로 연결되어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기술

  • 컴퓨터, 라우터, 스위치, 허브 등의 장비들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다.
  • 서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등의 정보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게 된다.

브라우저

 

⬇️ 사용자의 요청

 

서버 :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 어떻게 서로 문서를 전송할건지 정해야

 

HTTP :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 또는 프로토콜

 

⬇️

 

웹 서버 :  인터넷을 통해 HTTP를 이용하여 웹상의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응답해주는 통신을 하는 일종의 컴퓨터

 

⬇️ 정적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 But 동적인 요청이 들어왔을 때는 웹서버 자체적으로 처리가 어렵다.

      (Apache, Nginx)

 

WAS : 로그인, 회원가입, 게시물을 조회하거나 정렬하는 등 다양한 로직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동작.

          (Tomcat, JBoss) Tomcat은 동적인 처리를 할 수 있는 웹 서버를 만들기 위한 웹 컨테이너이다.

 

⬇️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Apache Tomcat  : 정적/동적 컨텐츠를 처리하는 WAS로써의 역할을 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프레임워크 :  빠른 어플리케이션 구축이 가능

 

Spring : AOP, IoC/DI 등과 같은 아주 강력한 핵심 기능

 

⬇️ 너무 나도 많은 xml 설정, 서버를 실행시키기 위해 Apache Tomcat을 직접 다운로드 받고 설정하고 프로젝트에 삽입

 

SpringBoot : 애너테이션을 사용하여 아주 간편하게 설정, 내장 Apache Tomc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