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과 결혼합니다

230623 - 3주차 주특기(Spring) 개발 용어 정리 본문

2세/Spring

230623 - 3주차 주특기(Spring) 개발 용어 정리

코딩러버 2023. 6. 23. 20:49
728x90

🔹 느낀점 

드디어 3주차 주특기가 시작되었다. 드디어 Spring을 배운다!
오늘은 기본적인 개념을 다루는 강의를 들었는데 도무지 강의가 끝나면 내가 뭘 배운건지 머릿속에 잘 남지 않았다.
그래서 차근차근 지급된 강의 내용도 참고하고 설명이 뭔가 부족하면 구글링을 하며 내가 앞으로 사용하게될 프로그램들은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고 개발 용어도 정리하였다. 역시 직접 손으로 적어가며 공부하는게 이해가 쉬운것 같다.

 


🔹 오늘 공부한 것

  • Gradle 이란?
빌드 자동화 시스템으로 Java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Jar 파일로 만들어준다.
빌드란 소스 코드 파일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독립 소프트웨어 가공물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 서버란?
사용자가 요청을 했을 때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Client는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고 응답을 받는다. 이때 사용자의 요청이 서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버의 정보가 필요하다. 이때 제공되는 정보가 IP주소이다.네트워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은 이 주소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웹서버 : 인터넷을 통해 HTTP를 이용하여 웹상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응답해주는 통신을 하는 일종의 컴퓨터

 

  • HTTP란?
웝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

 

  • 테스트코드
개발 코드 배포 전, 버그를 최대한 많이 찾아내는 법 (블랙박스 테스팅, 개발자 테스트 등)
JUnit :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 용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 테스트 실행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따로 main() 메서드를 실행하거나 서버를 실행시키지 않아도 각각의 메서드 혹은 기능별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 Lombokapplication.properties
Lombok은 메서드/생성자 등을 자동 생성해줌으로써 코드를 절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이다.
application.properties는 Spring과 관련된 설정을 할 때 사용되는 파일이다. SpringBoot를 사용하면 개발에 필요한 설정 정보들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이 파일을 사용하면 그 설정 값들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DB연결 시 DB의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이 파일을 이용하여 쉽게 값을 전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