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java 자료구조 활용
- java기본자료형
- 노베이스부트캠프
- java map 출력
- javaJVM
- java알고리즘
- 격파르타비전공자
- 인터프린터언어
- 항해99후기
- 비전공자sqld
- javaJRE
- 격파르타장점
- java map 저장
- 격파르타합격후기
- java set 출력
- 격파르타후기
- 프로그래머스제일작은수
- java map
- 코딩부트캠프후기
- java최솟값구하기
- 프로그래머스
- java list 저장
- 작은수제거하기
- 항해15기
- sqld자격증합격
- java set 저장
- java참조자료형
- 컴파일
- java알고리즘문제풀이
- java list 출력
Archives
- Today
- Total
코딩과 결혼합니다
Python 기초 문법 - 조건문, 반복문 본문
728x90
조건문
money = 1000
if money > 3800:
print('택시를 타자')
else:
print('택시는 무슨 걸어가')
if money > 3800:
print('택시를 타자')
else:
print('택시는 무슨 걸어가')
조건문은 이렇게 쓸 수 있다.
만약 money가 3800원 보다 크다면 '택시를 타자' 아니면(else) 다른 값이 도출된다.
**들여쓰기가 매우 중요하다!
: 이 나오면 들여쓰기를 그 안의 내용물이 된다.
else:
print('택시는 무슨 걸어가')
print('그럼 뭘타지?')
print('택시는 무슨 걸어가')
print('그럼 뭘타지?')
들여쓰기를 해줌으로 아래의 print도 내용물이 되어 함께 결과로 출력된다.
== 택시는 무슨 걸어가
그럼 뭘타지?
money = 1300
if money > 3800:
print('택시를 타자')
elif money > 1200:
print('버스를 타자')
else:
print('택시는 무슨 걸어가')
if money > 3800:
print('택시를 타자')
elif money > 1200:
print('버스를 타자')
else:
print('택시는 무슨 걸어가')
필요하다면 elif 도 가능! == '버스를 타자'
참고로 elif는 여러개 쓸 수 있다.
반복문
for문
fruits = ['사과','배','감','수박','딸기']
for aaa in fruits:
print(aaa)
for aaa in fruits:
print(aaa)
for 변수명 in frurits:
=> fruits 의 요소들을 하나씩 꺼내어 변수 aaa에 담아 결과를 도
people = [
{'name': 'bob', 'age': 20},
{'name': 'carry', 'age': 38},
{'name': 'john', 'age': 7},
{'name': 'smith', 'age': 17},
{'name': 'ben', 'age': 27},
{'name': 'bobby', 'age': 57},
{'name': 'red', 'age': 32},
{'name': 'queen', 'age': 25}
]
{'name': 'bob', 'age': 20},
{'name': 'carry', 'age': 38},
{'name': 'john', 'age': 7},
{'name': 'smith', 'age': 17},
{'name': 'ben', 'age': 27},
{'name': 'bobby', 'age': 57},
{'name': 'red', 'age': 32},
{'name': 'queen', 'age': 25}
]
연습으로 people 이라는 list의 'age' 값을 꺼내려면 ⬇️
for aaa in people:
print(aaa['age'])
print(aaa['age'])
for aaa in people:
name = aaa['name']
age = aaa['age']
if age > 20:
print(name, age)
name = aaa['name']
age = aaa['age']
if age > 20:
print(name, age)
이렇게 조건까지 추가해서 이름과 나이를 함께 구할수도 있다.
==
carry 38
ben 27
bobby 57
red 32
queen 25
출력하고 싶은 곳까지만 출력(break 문)
for i, aaa in enumerate(people):
name = aaa['name']
age = aaa['age']
print(i, name, age)
if i > 5:
break
name = aaa['name']
age = aaa['age']
print(i, name, age)
if i > 5:
break
==
0 bob 20
1 carry 38
2 john 7
3 smith 17
4 ben 27
5 bobby 57
6 red 32
'2세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롤링-스파르타피디아(1) (0) | 2023.05.21 |
---|---|
반복문, 조건문 연습(feat. 조팝나무) (0) | 2023.05.20 |
Python 기초 문법 - 딕셔너리 (0) | 2023.05.20 |
Get(주문 보여주기) (0) | 2023.05.16 |
Post(주문 저장하기) (0)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