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노베이스부트캠프
- java map
- 인터프린터언어
- 격파르타비전공자
- java 자료구조 활용
- 작은수제거하기
- 격파르타장점
- java map 출력
- java참조자료형
- 격파르타합격후기
- 컴파일
- 격파르타후기
- java기본자료형
- 항해99후기
- javaJVM
- 비전공자sqld
- java list 출력
- java알고리즘문제풀이
- 코딩부트캠프후기
- java set 저장
- java list 저장
- 프로그래머스제일작은수
- java알고리즘
- java set 출력
- 항해15기
- java map 저장
- 프로그래머스
- sqld자격증합격
- javaJRE
- java최솟값구하기
Archives
- Today
- Total
코딩과 결혼합니다
Python 기초 문법 - 리스트 본문
728x90
- 파이썬 기초 문법을 익히고,
- 여러가지 퀴즈로 빠르게 숙달한다.
- 파이썬 심화 문법들을 다뤄봅니다.
- 머릿속 어딘가에 담아두고, 나중에 생각나면 써먹기!
더하기 a+b
빼기 a-b
곱하기 a*b
나누기 a/b
제곱 a**b
*나머지 a%b (a를 b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
같다 a==b
a = '2'
b = str(2)
print(a)
b = str(2)
print(a)
숫자 2을 문자열로 바꿔주고 싶을 때
str()
=22
text ='abcdefghijk'
result = len(text)
print(result)
result = len(text)
print(result)
글자 길이 = 11
text ='abcdefghijk'
result = text[:3]
print(result)
result = text[:3]
print(result)
0번째부터 'n' 번째 까지 [ : n ] = abc
text ='abcdefghijk'
result = text[3:]
print(result)
result = text[3:]
print(result)
'n'번째 부터 마지막까지 [ n : ] = defghijk
myemail = 'abc@naver.com'
result = myemail.split('@')
print(result)
result = myemail.split('@')
print(result)
split('@') ➡️ @기준으로 쪼개짐 = ['abc', 'naver.com']
'abc'가 0번째 'naver.com'이 1번째
myemail = 'abc@naver.com'
result = myemail.split('@')[1]
print(result)
result = myemail.split('@')[1]
print(result)
= naver.com
myemail = 'abc@naver.com'
result = myemail.split('@')[1].split(('.'))
print(result)
result = myemail.split('@')[1].split(('.'))
print(result)
.을 기준으로 'naver'와 'com'으로 나뉜다.
myemail = 'abc@naver.com'
result = myemail.split('@')[1].split(('.'))[0]
print(result)
result = myemail.split('@')[1].split(('.'))[0]
print(result)
=naver
리스트
a_list = [2,'사과','배','감',['딸기',False]]
print(a_list[4])
print(a_list[4])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또 넣을 수 있다.
a_list = [2,'사과','배','감',['딸기',False]]
print(a_list[4][1])
print(a_list[4][1])
=False
a_list = [1,2,3,4,5]
a_list.append(99)
print(a_list)
a_list.append(99)
print(a_list)
.append 를 하면 뒤에 추가 된다.
= [1,2,3,4,5,99,100]
a_list = [1,2,3,4,5]
result = a_list[-1]
print(result)
result = a_list[-1]
print(result)
[-1]을 하면 맨 마지막 요소가 출력된다. =5
정렬해서 출력
a_list = [1,2,3,4,5]
a_list.sort
print(a_list)
a_list.sort
print(a_list)
=[1,2,3,4,5]
a_list.sort(reverse=True)
=[5,4,3,2,1]
요소가 리스트 안에 있는지
a_list = [1,2,3,4,5]
result = (5 in a_list)
print(result)
result = (5 in a_list)
print(result)
=True
'2세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k-API (0) | 2023.05.11 |
---|---|
Flask (0) | 2023.05.11 |
3주차 숙제 (웹스크래핑) (0) | 2023.05.10 |
mongoDB (0) | 2023.05.10 |
웹스크래핑(크롤링) (0) | 2023.05.08 |